We find that the task managers Microsoft bundles with Windows usually gets the job done if you just need to terminate a running process or see which application is eating up all of your RAM. But we're still kind of smitten by Process Manager 2 Lite, an enhanced process explorer.

This little application is a free replacement for the built-in Windows task manager. You can either set it to coexist with the default task manager, or you can check a box under "Windows Integration" in the settings to make Process Manager 2 Lite the default utility that runs when you hit Ctrl+Alt+Del.

The application shows you running tasks, like you would expect. But you can also click on a process and select "show dependency" to see related processes. Unlike Windows Task Manager, there's also a log file, which can come in handy, and as an added bonus you get the option of editing your Windows startup applications from within Process Manager 2 Lite. It's also a lot prettier than Windows Task Manager or the also-free

다운로드
Specifications:

Size: 1.32 MB
Language: EN
Version: 2.0


사용자 삽입 이미지

Introduction

Universal Extractor Feedback
If you have any questions about, or find any problems with, Universal Extractor, please post your comments to the UniExtract topic on the MSFN message board.  This has become the main point of discussion for this project.

Universal Extractor is a program do to exactly what it says: extract files from any type of archive, whether it's a simple zip file, an installation program, or even a Windows Installer (.msi) package.  This is still a work in progress (see details below), but so far it's proven quite useful and I feel others can also benefit from it.

I should stress that this application is not intended to be a general purpose archiving program.  It will never replace WinRAR, 7-Zip, etc.  What it will do is allow you to extract files from virtually any type of archive, regardless of source, compression method, etc.  The original motivation behind this project was that I wanted an easy, convenient way to extract files from installation packages, such as Inno Setup or Windows Installer packages, without pulling up a command line every time.  In the process I got a little carried away and ended up throwing in support for every kind of archive format I possibly could find.

Universal Extractor, like most of my Windows programs, is written in AutoIt, a powerful open source scripting language.  Universal Extractor itself, however, is just a front-end that uses many other programs to do the dirty work.  Please see the Credits section below for additional information.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Language Files

Note: As of version 1.4, Universal Extractor supports internationalization.  If you're interested in translating Universal Extractor into another language, please download the source archive and follow the instructions in English.ini.  Please send me your completed translation and I'll include it in the next version of Universal Extractor.  Thanks to all of the contributors!

To use these language files, simply download and copy into the lang\ directory of your Universal Extractor installation.  The new language will appear as an option the next time you run UniExtract.

사용자 삽입 이미지

Supported Formats

Archive Type Common File Extension(s)
7-zip archive .7z, .exe
ACE archive .ace
ARC archive .arc
ARJ archive .arj, .exe
ASpack compressed file .exe
BIN/CUE CD-ROM image .bin, .cue
bzip2 archive .bz2, .tbz2, .tar.bz2
CPIO compressed file .cpio
Debian package .deb
Encoded files .b64, .uu, .uue, .xx, .xxe, .yenc, .ntx
Gentee package .exe
gzip archive .gz, .tgz, .tar.gz
IMG floppy disk image .img
Inno Setup package .exe
Installer VISE package .exe
InstallShield Cabinet archive .cab, .1, .lib
InstallShield package .exe
ISO CD-ROM image .iso
KGB archive .kgb, kge, .exe
LZH compressed file .lzh, .lha
LZW compressed file .Z, .tz, .tar.Z
LZO compressed file .lzo
MHTML file .mht
Microsoft Cabinet archive .cab, .exe, .imf
Microsoft Compiled Help file .chm
Microsoft compressed file .??_
Microsoft LIT e-book .lit
Microsoft Windows Help file .hlp
NSIS package .exe
Outlook Express mail archive .dbx
PEA archive .pea
RAR archive .rar, .001, .exe
RPM package .rpm
SetupFactory package .exe
SIS (SymbianOS) packages .sis
StuffIt packages .sit
TAR archive .tar, .tbz2, .tgz, .tz, .tar.bz2, .tar.gz, .tar.z
UHARC archive .uha
UPX compressed file .exe, .dll
Windows Installer package .msi
Windows Installer patch .msp
Wise Installer package .exe
ZIP archive .zip, .jar, .xpi, .wz, .exe
Zoo archive .zoo

*******************************************************
다운로드

UniExtract Installer (4.6 MB) - This is the recommended download.  The installer will automatically install the application and optionally integrate with the Windows Explorer context menu.  This package does not contain source code.

UniExtract Binary Archive (4.44 MB) - This archive contains the binaries.  Download this if you don't want to use the installer.

사용자 삽입 이미지

When you first load Windows onto a PC, you have a relatively clean right-click menu. Select a file or folder and right click with your mouse, and you have the option to copy, paste, delete, or do a few other actions. But the more software you install on your system, the longer that window gets with applications asking if you'd like to unzip, play, or do other unspeakable things to your files.
FileMenu Tools lets you customize the heck out of your right-click menu. You can either clean up all of the items you don't use or add a ton of new features like change file attributes, or shred files. You can also show the shortcuts added by other programs if you really want to.

FileMenu Tools is available as a free download, and works with Windows 98/XP/Vista.
프리웨어
FileMenu Tools - Version History

Version 5.3 - 12/02/2007
  1. When a submenu has not any element, then it is not displayed in context menu.
  2. It is possible to configure a submenu, so that when only one command is displayed in submenu, the command is displayed in place of submenu.
  3. New parameter can be configured in customized commands in order to display the command only when one element is selected on Windows Explorer.
  4. Renamer: added management of profiles.
  5. Size of Folders: now it shows also the files that the parent folder contains. This is displayed with an element whose name is a dot.
  6. New utility: Shred Files. This utility lets you shred the selected files definitely so it is imposible to recovery the files with recovering tools.

다운로드

 

"'굶주린 학생들을 위한 소프트웨어(Software for Starving Students, 일명 'SSS' 불리는 이 소프트웨어 패키지는 파이어폭스, 오픈오피스 등 다양한 비상업용 애플리케이션 중 유용한 것들만 엄선해 모았다. 대부분 오픈소스 및 프리웨어 소프트웨어로, GPL 또는 이에 상응하는 라이센스를 가지고 있어 배포나 설치가 자유롭다. 따라서 법적 제한이 없는 소프트웨어만 모아 설치하기 쉽도록 '컴필레이션 CD 타이틀'을 만든 것이다.

이와 관련 CD 타이틀을 만든 데이비드 턴불(David Turnbull)씨는 홈페이지에 올린 글을 통해 "저작권이 있는 일부 소프트웨어는 개발자들에게 배포 허락을 받았다"며 "오픈소스가 아니더라도 학생들에게 유용한 소프트웨어가 더 있다면 허락을 받을 수 있는 방법을 찾을 것"이라고 말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다운로드
http://traubinator.com/mirrors/softwarefor.org/2007.09/SSS_Win_2007.09/


CD 내용

Windows

※ 설치시 주의사항
 
 
설치시 체크해야하는 란이 있는데, 익스플로러에 체크하시고, directX가 필요하다면 미디어플레이어에도 체크하시고,
시스템관리부분 (명칭이 뭐였는지 기억이 안나네요.. )
아무튼 이건 필히 체크해주세요. 그냥 디폴트로 할 경우에 system32에 있는 기본적인 파일들이 설치가 안됩니다.
예를들어 ipconfig, ping, taskmgr 같은...
그리고 비밀번호 설정할때 다른 OS랑 달리 상당히 까다롭습니다.
저같은 경우에 10자리의 비밀번호를 입력했는데 계속 스트롱비밀번호를 요구해서
띄어쓰기를 포함한 비밀번호를 입력하니까 넘어가더라고요 참고하세요.
설치도중 언어는 모두 K o r e a로 설정하시고요.
그리고, 이거 설치하신분 중에 로그인이 안된다고 하신분이 있어서 말씀드리는데요...
설치 다 하고 로그인하는 부분에는
이름과 비밀번호를 쓰는게 아니고 administrator 랑 비밀번호를 쓰는것 이니 혹시 몰랐던 부분이라면 기억해 두세요.
마지막으로...
설치가 끝나면 제어판 들어가셔서
Regional and Language options 들어가셔서
Advanced 부분에 English를 K o r e a n으로 꼭 바꾸세요.
그래야 한글프로그램이 깨지지 않습니다.


설치정보 => http://www.openserver.co.kr/my/entry/Microsoft-Window-Fundamental-Legacy-PCs-FLP

 
 유의할점 => http://crowelee.wordpress.com/2007/04/04/check-point-in-windows-flp/
 
 자동로그인 => http://nasurada.web-bi.net/blog/107
 
 
  영문설치 - Windows FLP.iso
  한글팩   - Windows FLP K o r e a n Langugae MUI.rar
 
 
 
 

현제 한글판은 없고 korea로 설정하면 한글사용하는데는 지장없습니다.

 

처음쓰신다면 그냥 풀모드로 설치하세요..  

 

http://www.openserver.co.kr/my/entry/mi … -pcs-flp

 

http://link.allblog.net/1594514/http://itviewpoint.com/tt/index.php?pl=2113

 


자동로그인..

자동 로그인으로 편안하게 사용하기
시작 - 실행 - control userpasswords2 - 확인 - 사용자계정 - 사용자이름과 암호를 입력해야 이 컴퓨터를 사용할수 있슴-체크(해제) - 확인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인터넷 서핑 중 발견한 자료인데 첨에 이게 웬 자료인가 싶어서 검색해보니
내 맘에 딱 드는 자료 라서 지금 다운 받으면서 이에 관한 스크랩한 자료를 올려놓는다.

************************************************************
#] Concept
M
icrosoft Window Fundamental Legacy PCs (이하 FLP) 는 엔터프라이즈고객용으로 기획된 제품이다.
WindowsXP - Lite프로그램을 들어본적이 있는가?? XP에서 불필요하다고 생각되는 기능을 제거해서
가볍게 만들어주는 프로그램이였다. FLP는 바로 이것의 Microsoft버전에 해당한다.
제목그대로, 오래된 PC를 위해서 기획된 윈도우XP라고 생각하면 된다. 생김새도 완전히 윈도우XP와
동일하다. 내부적으로는 Embeded XP라고 되어있지만, 주 운영체제로 사용해도 전혀 지장이 없다.
본인의 경우에도 XP를 사용하지만, 사실 사용하지 않는 기능이 많아서 최적화를 수행한다.
하지만, FLP의 경우는 이미 최적화 되어있고, 저사양의 컴퓨터에서도 운영될 수 있도록 구조화 되어있다.
권장사양이 펜티엄 200Mhz 에 설치용량은 최소 611MB와 최대 1151MB이다. 설치완료 후의 용량이다.
또한, 설치할때 WindowsLite와 같이 Internet Explorer / Help / Language Support / Media Player등을
설치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말그대로 가장 최소의 버전을 유지할 수 있다. 가볍고 빠르다고 하지만,
아주 크게 빠르지는 않지만, 내부적으로 살펴보니 많은 툴들이 제외되어있고, 자주 사용하는 기능만
들어있는 것이다. Windows XP - SP2기반으로 작동한다. 당연히 영문판이다. 하지만 한글사용에는
전혀 문제가 없다는 것은 이미 알고 있을 것이다.
본 가이드는 FLP를 설치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서이다. 설치가 기존의 XP와는 다르기 때문이다.
저사양용이라고 현재 유행하는 PC에서 작동안되는 것은 절대 아니다. 가볍기 때문에 파워유저들이
사용하기에는 전혀 문제가 없고, XP-SP2에 기반하기 때문에 드라이버와 프로그램호환성에도 전혀
문제가 없었다. 본인이 느껴본바로 가장 가볍게 느껴졌던 OS는 Windows Server 2003 R2 버전이였는데
FLP가 더 가볍고 빠른 느낌이였다.  자 이제 FLP의 세계로 들어가보자!!!

#] Download MS FLP
당연한 얘기지만, 일반 판매자용이 아니다. 기업용으로 제공되며, 아주 희귀한(?) 자료에 속한다.
상용자료이고, 더더구나 MS의 제품이므로 링크를 제공할 수 가 없다. 각자 알아서 구해야한다.
참고로 http://www.jjangfile.net  과 같은 웹하드에서 "FLP" 로 검색하는 방법으로 구할 수 있다.
또는 http://www.google.co.kr  에서 해당 검색어로 검색하면 중국쪽 서버에서 다운로드도 받을수
있다는 것을 참고하기 바란다. 본인도 이곳에서 받은것이다. Jjangfile에는 "운영체제" 부분에
있음을 확인했다.

FLP는 비스타와 같은 구조로 WinPE로 부팅해서 WiM이라는 설치이미지를 압축해제하는 방식으로
설치한다. 앞으로 MS의 OS는 이런식으로 설치를 진행하는 추세이다. WindowsAIK라는
툴로 WIM이미지를 압축해제 할 수 도 있다.......

#] Installation Guide Window FLP
FLP는 처음에 10몇가지 과정만 설정해주면 따로 조작할 것없이, 혼자 설치한다. 이는 MS의
Zero-Installation정책의 일환으로, 설치과정의 단순화로 인한 것이다. 기존의 XP의 설치화면과는
다소 생소한 화면이므로 본 가이드를 만들었다. 또한 듀얼부팅에 대해서는 설명하지 않고, 오로지
주운영체제로 FLP를 운영할 경우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BIOS에서 시디를 최우선 부팅장치로 설정한 후 FLP시디를 넣은후 부팅한다.
참고로, XP에서 설치하는 것과 개념적으로는 동일하다. 부팅하면 시디로 부팅하겠냐는 질문을 할 것이다.
5초내로 아무키나 누르면 FLP의 설치프로세스가 진행 될 것이다. XP와 같은 화려한 것은 기대하지
말기 바란다. FLP의 주요기획의도를 알면 자연히 이해 할 것이다.  본 가이드에서는 설치중간에 대한
모든 화면을 제공하지 않는다. 더더구나 3부분으로 나누어서 진행된다.

 Configure -> Setup -> First Boot  이렇게 세부분으로 나누어진다. Setup부분은 사용자가 조작할
것이 전혀 없다. Configure부분에서 설정하는 것만 Step Guide로 진행하고, Setup 부분은 이미지
슬라이드로 진행하도록하겠다. 착오없기 바란다. 설치시간은 XP보다는 약간 빠른것 같다....

1] Configure

사용자 삽입 이미지

상기화면으로 반겨(?)주면서 설치가 진행된다. FLP는 이렇듯 단순한 구조로 진행된다. "Next"를 눌러서
진행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늘 얘기하지만, 최종사용권 계약에 대하여 질문하는 것이다. "I accept~"부분을 선택하고 "Next"로 진행.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윈도우는 설치시에 직접입력 방법과 무인설치모드가 존재하다. 이부분은 테크박스를 참고하기 바란다.
본 가이드에서는 직접입력방식으로 진행한다. 특이한것이 있다. 바로 원격으로도 설치할 수 있는것이다.
기업용이라했었다. 대량으로 설치할 경우에 사용한다.아무것도 조작할 것 없이, "Next"를 눌러서 진행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MS의 주요관문중 하나이다. 25자리 시디키를 입력한 후 "Next"를 누른다. 여기서 참고로 FLP설치시디에
보면 pidgen.dll이라는 파일이 있다. 이것이 바로 시디키 검사 프로그램이다. 이것을 XP시디의 것으로
교체해서 사용하면, XP의 시디키로도 설치가능할 것이지만, 참고로 알아두기 바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FLP는 현재 영문판만 존재하므로, 한국인은 한국환경을 잡아줘야한다. 모조리 "Korea"로 지정해준다.
한글폰트와 입력기와 로케일(지역)이 설정된다. 아랍어에 능통하다면 아랍어를 선택하기 바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Advanced"버튼을 누르면 로케일과 기본지역설정을 추가로 할 수 있다. 무조건 "Korean"으로 선택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설치형식을 질문한다. "Minimual"을 선택하면 611MB만 설치하며, 최소모드로 운영된다. 본가이드에서는
"Custom Configuration"을 선택해서 설치옵션을 선택해서 진행하도록 한다. 선택후 "Next"로 진행.
사용자 삽입 이미지
여러가지 옵션이 있다. FLP의 설치시디에 보면 "Doc"라는 폴더에 영문판 설명서가 있다. 각 옵션을
추가하지 않았을 경우 무엇이 설치안되는지를 알 수 있다. 본가이드와 본인의 경우는  상기와 같이
선택했다. 1002MB를 소모한다고 되어있다.  참고로 게임을 할려면, 반드시 Media Player를
선택하기 바란다.DirectX가 설치된다. 선택후 "Next"로 진행.
사용자 삽입 이미지
설치할 파티션(디스크)를 선택하는 부분이다. 상기 화면과 같이 해당 파티션을 선택하면 "Create"버튼이
활성화 될 것이다. 이미 파티션이 존재하면, 선택후 "Next"버튼을 눌러서 진행한다. 가이드에서는
파티션을 선택한 후 "Create"버튼을 눌렀을 경우를 설명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현재 FLP가 설치될 파티션의 용량을 보여준다. 바꿀려면 바꾸시고, 별다른 이유없다면 "Next"로 진행.
사용자 삽입 이미지
다시 돌아왔다. 이제는 "Next"버튼이 활성화 될 것이다. "Next"버튼을 눌러서 진행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해당파티션에 대한 각종 설정을 한다. 노파심으로 얘기하지만, 기본값이 가장 좋다!! 개발자들과 운영진들
이 각종 베타테스트해서 얻은 자료로 가장 많이 선택하는 부분을 기본값으로 정한다. 단 여기에서는
"Quick Format"을 눌러서 빠른포맷옵션을 주었다. 빠른포맷을 하더라도 큰 문제는 발견한적이 없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이름과 조직명을 입력하라는 것이다. 뭐 중요한 것은 아니므로, 자기편한대로 입력하고 "Next"..
사용자 삽입 이미지
컴퓨터이름과 Administrator비밀번호를 입력한다. FLP는 이부분이 XP와 틀리다. Strong-Password라해서
어설픈 암호를 입력하면 설치를 진행하지 않는다. 보안에 강화한 모습이다. 8자리 이상으로 특문으로 혼용
해서 입력하기 바란다. 정상암호라면 "Next"버튼이 활성화 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네트워크 설정이다. 이미 XP-SP2기반이기 때문에 왠만한 네트워크카드는 잡혀있을것이다.
아무것도 체크안하면 DHCP로 설정된다. 설치후에 얼마든지 변경할 수 있다. "Next"로 진행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워크그룹 방식과 도메인 여부를 결정한다. FLP는 기업용이라고 했었다. 원격연결용과 도메인클라이언트로
사용되는 저사양 PC를 위해 만들어져있으므로, 당연한 질문이다. 기본값으로 진행해도 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입력은 마쳤다... 간단한 요약을 보여준다. "Install"버튼을 누르면 설치가 진행된다. 참고로 이후부터는
커피나 마시며 기다리는것이 일이 될것이다. 가이드에서는 중간과정을 슬라이드로 보여준다. 단순히
참고하기 바란다.

2] Setup

## 플래쉬 동영상 가이드가 있는데 짤린거 같음...

FLP 설치중의 화면모음

화면의 좌측 상단에 각 과정에 대한 인디케이터가 표시된다. 궁금한 독자는 집중해서 살펴보기 바란다.
유저가 따로 손대야하는 부분은 전혀없다. 설치과정중에 화면이 깜박일 수 도 있고, 3-4번 리부팅을
할 수 있다. 다음과정이 나올때 까지 그냥 기다리면 된다. Detecting PNP Device라는 것을 오랜만에
보는 감회가 새롭다. 이과정에서 Legacy용 하드웨어를 검출해낸다. 뭐 특별한 것은 없다.
윈도우XP의 베타(휘슬러)때의 모습과 유사하다.....


3] First Boot
자 이제 설치가 완료되었다. 처음으로 부팅하는 모습과, XP와는 다른 모습을 보게 될것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부팅화면이 틀릴 것이다. 뭔가 특별한 화면이라 기분만 다를뿐 같은 환경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부분이 XP와는 틀린부분이다. FLP는 보안이 강화된 제품이다. 반드시 이과정을 거쳐야 부팅이 된다.
파워유저라면 알수있을 것이다. "Ctrl + Alt + Del"키를 동시에 눌러서 로그인페이지를 띠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반드시 "Administrator"로 입력해야한다. Configure과정에서 입력했던, 비밀번호를 입력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처음으로 부팅하는 단계이므로, Configure과정에서 선택했던 옵션들에 대하여 설정하는 모습이다.
IE를 설치해도 이런모습을 본적이 있을 것이다. 기다려 보자!!

사용자 삽입 이미지

썰렁 그자체이다. 방화벽 표시만 나타나고, 메뉴는 아주 간단하다. 탐색기로 살펴보면 알겠지만,
파일들이 많이 줄었다. 하지만, 일반유저와 파워유저들이 사용하는것들은 모두 들어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상기화면은 프로그램을 보여준다. 역시 단순한 구조이다. 본인도 저런것만 있으면 충분히 쓴다고 생각했던
것들만 들어있다... 나머지 안쓰는것들이 시스템을 무겁게 만들었다......

☆☆☆☆☆☆☆☆☆☆☆☆☆☆☆☆☆☆☆☆☆☆☆☆☆☆☆☆☆☆☆☆☆☆☆☆☆

설치시 주의 할 점

설치시 미디어 플레이어를 선택하지 않으면 다이렉트엑스(DirectX)가 설치되지 않는다. 이것은 추후 별도로 내려받아 설치할 수가 없으니 주의해야 한다.

설치 옵션에서 인터넷 익스플로러(Internet Explorer)를 선택하지 않아서 그런지 모르겠지만 아웃룩 익스프레스(Outlook Express)가 설치되지 않았다. 이럴 경우 오피스 프로그램에 포함되어 있는 아웃룩을 설치하여도 메일의 보내기/받기가 불가능하다. 2003에서 나타나는 현상이고 그 이전 버전에서도 동일한 문제가 발생할 것으로 생각된다. 오피스 2007 버전을 설치하면 Hotmail(혹은 MSN)을 제외한 POP3 방식의 정상적인 보내가/받기가 가능하였다.

마찬가지 이유에서 아웃룩 익스프레스가 설치되지 않으면 IE에서 MHTML 파일을 저장하거나 열지 못한다. Firefox에서는 별도의 프로그램을 사용하거나 Opera 9.0 이상을 사용할 경우열 수 있다고 하였으나 테스트는 해보지 않았다.

IE를 비롯한 OS 종속적인 기능들 때문에 Windows FLP는 약간 불안하다. 설치를 고려하고 있는 사람은 알게 모르게 나타나는 이상 증상에 대해 담담해 져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Windows FLP를 위한 팁 두 가지를 적어보겠다.

초기 설정에서 아이콘이 8비트(256 색상)로 표시되어 이상하게 보이게 된다. 이 경우 레지스트리 편집기에서 HKEY_CURRENT_USER\Control Panel\Desktop\WindowMetrics 위치에 Shell Icon BPP라는 문자열을 생성한 후 16이라는 값을 넣어주고 로그오프 후 다시 로그인하면 16비트 아이콘을 볼 수 있다.

다른 한 가지는 로그인시 Ctrl+Alt+Del키를 눌러야 한다는 것인데, 그룹 정책을 변경하여 일반 XP와 같은 로그인 화면을 볼 수 있다. 실행창에서 gpedit.msc를 입력하여 그룹 정책 MMC를 실행한다. Local Computer Policy\Computer Configuration\Administrative Templates\System\Logon 위치에 Always use classic logon 항목을 더블 클릭하여 Disabled로 변경하면 된다.


*****************************

사용자 삽입 이미지

Windows FLP 자동 설정되는 부분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Windows FLP 와 Fonts 등록
사용자 삽입 이미지



11월 28일 현재 최신 버전이다.
 GMail Drive shell extension 1.0.12

자료실 에 퍼온 설명

1GB의 저장공간을 제공한다는 소문에 한때 화제가 되었던 구글(Google)메일인 GMail은 가입한 사람이 초대를 통해서 다른 사람을 가입시킬 수 있는 독특한 가입방식으로 눈길을 끌었습니다.

GMail Drive는 이 GMail에 계정을 소유하고 있는 사용자의 경우 이 4GB의 저장공간을 마치 사용자의 하드디스크처럼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아이디어가 돋보이는 프로그램입니다.

프로그램의 별도의 실행파일은 없으며 다만 프로그램을 설치하면 윈도 탐색기에 GMail Drive라는 가상 드라이브가 생성됩니다.

GMail Drive를 클릭하면 GMail계정에 로긴하기 위해 ID와 패스워드를 물어오며, 정상적으로 로긴을 하고 나면 현재 사용자의 GMail계정에 저장된 파일 및 폴더의 현황을 나타내줍니다.

사용자의 하드디스크에서 GMail Drive로의 파일 복사는 드래그 & 드롭 동작을 통해 간단히 수행할 수 있으며 현재 계정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의 삭제 및 복사와 같은 작업은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른 후 단축 메뉴를 통해 쉽게 수행할 수 있습니다.

GMail에 계정을 가지고 있는 사용자 중 이 4GB라는 계정 용량을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해보고픈 사용자에게 추천합니다.

밑에 주소는 제작자의 사이트 주소입니다.

http://www.viksoe.dk/code/gmail.htm

밑에 주소는 G 메일 드라이브 관련 사이트 인거 같음

http://www.getgspace.com/

G메일 드라이브 설명해논 사이트
http://minilogue.net/blog/619

http://giskorea.blogspot.com/2006/02/gspace-gmail.html

*******************************************************************************

전에 시스템자체에 네트웍드라이브 연결식의 Gmail Drive를 사용해봤었는데, 웹하드처럼 사용하는 gSpace라는 프로그램이 있네요. ^^

gSpace - Gmail을 온라인 하드드라이브로 사용하기

GIS와 직접적인 관련은 없지만, 여러모로 유용하게 사용될 것 같다.

전에 "Gmail Drive"라는 비슷한 프로그램이 있었는데 구글에서 지정한 10메가라는 파일크기 제한 때문에 사용하는 것을 중단했다.

이 Gmail File Space (gSpace)라는 프로그램(좀더 정확히 말하면, FireFox의 Extension)도 초기버전에서는 파일 크기 제한 문제가 있었지만 새 버전으로 업그레이드하면서 이 제한을 없앴다. (구글측에서 이걸 알게되면 다시 제한을 가할지 모르겠다.)

개인용 FTP로 사용하기에 좋을 듯. 다운로드는 여기서:
Rjonna's website

*** 이 Extension은 FireFox 인터넷 브라우저 전용이므로, 먼저 FireFox를 받아서 설치해야 합니다. FireFox에 관련된 정보는 여기에: Get FireFox!

Product Key Explorer는 시스템에 설치된 운영체제와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의 시리얼키를 보여주는 뷰어 프로그램입니다.

MS 운영체제는 물론, 오피스, 포토샵, 드림위버, 플래쉬, 노턴, 네로등의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의 시리얼 키가 확인 가능하고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는 다른 컴퓨터의 IP 주소를 이용해서 해당 컴퓨터에 설치된 시리얼키를 확인할 수 있는 기능도 제공을 합니다.

기본적으로는 로컬 컴퓨터가 선택되어 있지만 Select Computers를 이용해서 다른 컴퓨터를 검색해서 선택할 수 있습니다. Find keys 버튼을 누르면 간단하게 프로덕트 이름과 데이타 Info, 프로덕트 데이타 정보를 보여줍니다.

< 프로덕트 키를 볼 수 있는 운영체제와 어플리케이션 종류 >


Adobe GoLive 7
Adobe Photoshop 6
Adobe Photoshop 7
Adobe Photoshop 8
Adobe Premiere
Adobe After Effects
Adobe Lightroom
Autodesk 3dsMax
Autodesk Inventor
Autodesk AutoCAD
Autometrix
ACDSee Photo Manager
ACDSee FotoAngelo
ACDSee FotoCanvas
ACDSee FotoVac
ACDSee ImageFox
ACDSee PicaView
Alcohol 120%
Allaire
Altiris Software Virtualization Agent
Arsenal Socrat Translator
Axailis Icon Workshop
Advanced Direct Remailer
Agnitum Outpost Firewall
Borland Delphi
Borland C++Builder
Beyond TV
Beyond Media
BitComet Acceleration Patch
CachemanXP
Call of Duty 2
Century Software
Company of Heroes
Crystal Reports
Cucusoft DVD to Zune Converter
CyberLink PowerDVD
CorelDRAW
Corel WordPerfect
CFi ShellToys
Creative Softworx Capture Professional
DVD2One
DVDFab Platinum
Dell Service Tag
DVD Profiler
DFX plugin
Dangerous
Dawn of War - Dark Crusade
Distinct Visual Internet Toolkit
EO Video
ElcomSoft products
Elaborate Bytes CloneCD
Elaborate Bytes CloneDVD
Electronic Arts All Games Electronic Arts Sims 2
Electronic Arts Battlefield
EA FIFA 2002,2003,2005...
Microsoft Windows 2000
Microsoft Windows XP
Microsoft Windows Server 2003
Microsoft Windows Vista
Microsoft Plus!
MS Office 2000 Product id
Microsoft Office 2003
Microsoft Office 2005
Microsoft Office 2007
Microsoft Office FrontPage
Microsoft Visio 2003
Microsoft SQL Server 2000
Microsoft SQL Server 2005
Microsoft Exchange Server

FlashGet
Futuremark PCMark
FTP Express
FinePrint Software
HDD State Inspector
Intuit Software Quickbooks
InterVideo WinDVD
Ipswitch WS_FTP
Legends of Might and Magic
LimeWire Acceleration Patch
Illusion Softworks Hidden &
Industry Giant 2
IGI 2: Covert Strike
James Bond 007 Nightfire
3D Mark
Nero Burning Rom 6
Nero Burning Rom 7
Norton Internet Security
Norton PartitionMagic 8
NuMega Bounds Checker
Naturally Speaking
NewsBin Pro
Nevis Systems CheckPop
Ositis WinProxy
O&O CleverCache
O&O Defrag
O&O DriveLED
O&O DiskImage
O&O DiskRecovery
O&O SafeUnErase
O&O SafeErase
O&O BlueCon
On Time RTOS-32
Poikosoft Easy CD-DA Extractor
Padus DiscJuggler
Pegasys TMPGEnc Plus
Persits Software AspUser
Pinnacle Systems Studio
Pro Evolution Soccer 6
Protect-CD VOB Key
PowerQuest PartitionMagic 8.0
PC Icon Editor
PC Pitstop Optimize
Quickbooks Pro
Quantum Tech Remote Backup
Age of Empires 3
Halo
Flight Simulator
Rise Of Nations
Age of Mythology
Age of Mythology Expansion Pack
MechWarrior Clan Pak
MechWarrior IS Pak
MechWarrior Mercenaries
Macromedia Dreamweaver 7
Macromedia Dreamweaver 8
Macromedia Fireworks 7
Macromedia Flash




Sony Sound Forge
Sony Noise Reduction
Sony AC-3 Encoder
Sony MC MPEG Plug-In
Sunflowers Anno 1701
Sniffer Pro 4.7
SlySoft CloneCD
SlySoft AnyDVD
Soldiers Of Anarchy
Smart Version
Smart Soft SmartUndelete
SiSoftware Sandra
Super Cleaner
Splinter Cell - Chaos Theory
Stardock Galactic Civilizations II
Stiletto Products
Techsmith Camtasia Studio
Techsmith SnagIt
TGTSoft StyleXP
Trend Micro PC-cillin Antivirus
TuneUP
TMPGEnc Plus
Techland Games
Titan Quest
TurboSketch Studio
TurboCAD
TurboCAD Professional 14
Tricers
Unreal Tournament
Ulead DVD PictureShow
Ulead COOL 360
Ulead PhotoImpact
Ulead MediaStudio Pro
Ulead VideoStudio
Ulead DVD MovieFactory
Ulead DVD CD PictureLab
Valve Software Games
VMware Workstation
VanDyke SecureCRT
VanDyke SecureFX
VanDyke AbsoluteFTP
VanDyke Entunnel
VicMan
Virtual Dj Studio 4 - 5
VoodooLight ScreenSaver
VSO ConvertX to DVD
Whole Tomato Visual Assist
Westwood Tiberian
Westwood Red Alert
Westwood NOX
WordStar Command Emulator
WinPatrol
Winamp 5
WinZip
WinImage
WinISO
ZoneAlarm
Mechanic
Runtime Software GetDataBack
Roxio My DVD
Roxio Easy CD Creator
RealNetworks Games
StarNet X-Win32
System Mechanic
Sonic Solutions MyDVD
Sonic Record Now!
Stalker
Rainbow Six III RavenShield
Readiris Pro
Replay Converter
Register Suitcase
Registy
EA SimCity 4 Deluxe
EA James Bond 007 Nightfire
Eugen Systems The Gladiators
EZ SoftMagic MP3 Joiner
Quake 4
GetRight
EA NHL 2002,2003...
Microsoft MSDN 7
Microsoft MSDN 8
Microsoft Visual Studio 2003
Microsoft Visual Studio 2005
Microsoft Visual FoxPro
Microsoft Driver Development Kit
Microsoft Games:
Dungeon Siege 2
Macromedia Homesite
Macromedia ColdFusion MX
Macromedia Flash Communication Server
Mathcad
mIRC
Magic Utilities
Medieval II Total War
MindManager
Macromedia Fireworks
Macromedia FreeHand
Macromedia Contribute
Macromedia Captivate 1.0
Macromedia Director

+ Recent posts